강냉이 스타 정보

양동근 박가람 나이 프로필

굼뱅 2020. 8. 18. 20:00
반응형

양동근

이름 : 양동근

예명 : YDG

출생 : 1979 6 1 (41)

가족 : 배우자 - 박가람, 장남 - 양준서, 장녀 - 양조이, 차남 - 양실로

신체 : 175cm, 72kg, B

종교 : 개신교

데뷔 : 1987 KBS 드라마 '탑리'

소속사 : 조엔터테인먼트

별명 : 구리구리


가수 겸 배우 양동근과 그의 아내 박가람이 '살고 싶은 집'에 대해 언급했다. 18일 오후 방송되는 SBS '나의 판타집'에 출연하는 양동근은 아내 박가람 뿐 아니라 자녀인 준서, 조이, 실로 그리고 반려견 엘사, 미키와 함께하는 일상과 근황을 공개한다. 이날 방송을 앞두고 공개된 영상에서 양동근은 "아무래도 애 셋에 개가 둘이나 있다보니 아이들이 신나게 뛰어 놀 수 있는 마당이 있는 집"이라고 말한다.


같은 방송에 출연하는 양동근의 부인 박가람 역시 자신이 살고 싶은 집에 대해 언급한다. 박가람은 "마당이 있고, 자녀들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많고, 오픈형 주방이 있는 곳에서 살아 보고 싶다"고 설명한다. 최근 양동근과 부인 박가람은 한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광장동에 위치한 아파트 내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양동근과 박가람은 집을 공개하며 두 사람의 러브스토리도 공개했었다. 8살 나이 차이가 나는 양동근과 아내 박가람은 결혼 이후 슬하에 2남 1녀를 자녀로 두고 있다. 양동근 부인 박가람의 직업 등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양동근은 대한민국의 가수이자 배우이다. 9살 때 부터 아역 연기를 했었고, 지금도 A급 연기자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며 힙합씬에서는 레전드의 반열에 오른 보기 드문 커리어를 가진 인물이다. 그야말로 진짜배기 만능 엔터테이너. 가수 활동 시에는 본명의 이니셜에서 온 YDG라는 예명을 사용 중이다. 레게머리, 아프로, 반삭발 등 특이한 헤어스타일을 보였다. 특히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은 MBC 시트콤 뉴 논스톱 당시의 아프로 스타일. 2008년 5월 6일에 현역으로 입대를 했으며 제3보병사단에 군악병으로 배정되었다. 그 후 연예사병으로 전출됐고, 2010년 3월 25일에 제대했다.


특유의 느릿하고 어눌한 말투로 인해 나오는 작품마다 늘 똑같다고 까이기도 하지만 그것은 인상적으로 남은 몇 작품의 영향이다. 인물 내면에 대한 표현은 각 작품마다 판이하게 다를뿐더러 깊이도 있다. 필모그래피 전체를 보면 다양한 연기를 한다. 다만 흥행성이 좋은 편은 아니다. 평소엔 어딘가 빈틈여백의 미있는 듯 보이다가 감정을 폭발할 때 확실하게 터뜨려주는 캐릭터를 맡으면 연기력이 폭발한다. 가령 네 멋대로 해라에서 밥을 입에 문 채로 오열하는 연기는 압권. 바람의 파이터 에서도 특유의 과묵한 최배달의 포스를 조금씩 고조시키면서 이내 마지막 싸움에서 그 포스가 절정에 달하는 등 아주 훌륭하게 소화해냈다. 아역부터 차근 차근 쌓아온 내공은 어디 가지 않는 모양이다.


항상 상대역 여배우가 미녀라는 것도 특이점. 장나라, 이나영, 한가인, 김태희, 한채영, 박한별 등등… 논스톱 영상에서 보듯 마이클 잭슨의 빌리 진도 잘 따라한다. Black Or White 뮤직비디오 후반부의 단독 댄스씬을 거의 완벽하게 따라한다. 마이클 잭슨의 엄청난 팬인 듯. 30대에 들어선 이후 작품 선택이 너무 아쉽다. 물론 배우의 개성이 워낙 강한 탓에 주어지는 역할의 스펙트럼이 제한되어있는 점도 주요하겠지만, 작품 선구안이 좋지 못하다. 최근 들어 출연한 드라마, 영화 모두 그의 연기만 겨우 살아남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사실 시트콤 논스톱에서의 코믹한 캐릭터가 양동근이라는 이름을 알리게 될 정도로 크게 히트를 쳐서 코믹한 이미지가 대중들에게 강하게 남았다. 본인도 그걸 인지했는지 논스톱 이후로는 거의 정극 연기만 하는 중이다. 한국에서 플레이스테이션2가 정식발매되었을때 초기 플2 CM모델이었다.


자신의 곡 중 "어깨"에 대한 에피소드를 강심장에 나와서 푼 적이 있다. 군대에 있을 당시, 연예병사로 활동하던 도중 자살방지 캠페인의 일환으로 곡을 하나 만들게 되었고, 마침 자신도 상당히 우울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던 터라 자신에게도, 다른 사람에게도 힘이 되어줄 수 있는 곡을 쓰고 싶어 만든 노래가 바로 어깨라고. 실제로 양동근이 이 노래를 부르는 영상에 이 노래를 듣고 정말 힘이 많이 되고 있다며 고맙다며 유투브에 댓글을 남긴 군인들도 있다. 메르세데스-벤츠 CLS의 오너다. 같은 무브먼트 크루 소속인 Bizzy가 자신의 EP 앨범이 나왔을 때 인터뷰에서 '양동근의 플로우는 자신에게 따온 것'이라고 발언했으며 그 뒤 인터뷰에서 자신의 랩 모델이 50 Cent이라고 밝혔다. 팀킬! 비지만 쪽팔리게 됐다 처음에 랩을 시작할 때 플로우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으며, 고심 끝에 이런 플로우가 나오게 된 것이라고 한다.


2007년 인터뷰에서 자신이 사랑하던 연인이 있었는데, 알고 보니 소속사 사장의 연인이었다는 이야기를 밝힌 바가 있다. 이후 사랑을 못하고 있다고…. 이 이야기를 담은 곡이 4집 수록곡 '비트를 찾아나서'다. 타이거 JK와도 이래저래 인연이 있다. 인터뷰에 따르면 압구정 클럽에서 술주정하다가 봤고, '좋은 친구들'의 랩퍼가 되는 코너에서도 만났고, 1집 때도 디렉팅 해줬다는 이야기가 있다. 드렁큰타이거 5집 앨범의 히든트랙에서는 양동근이 혼자 2분 49초간 랩을 하는데, 히든트랙 하나를 통째로 내어줬다는 점에서 둘 사이의 친분을 짐작할 수 있다. 6집에도 역시 히든 트랙이 존재.


SNL 코리아 시즌2 3화에 호스트로 초대되어 보통 오덕들도 소화하기 힘든 미미인형덕후로 등장해 폭풍랩을 선보였다. 위에 언급한 특유의 그루브와 리듬이 잘 살아있다. 2013년 1월 말에 결혼 발표를 했다. 예비 신부는 이미 임신 중이며 올해 안에 결혼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 해 3월 장남 양준서를 출산하였다. 걸그룹 레이디스 코드의 예뻐 예뻐에서 랩 피쳐링을 하였다. 2013년 8월 29일, 좀 늦은 감이 있지만 컨트롤 디스전에 참여. mind control이란 제목으로 이번 디스전이 상대방의 치부를 들추는 비방전으로 변질된 걸 깠다.


2016년 4월 24일부터 슈퍼맨이 돌아왔다에 출연하였었다. 함께 출연하던 자녀는 2015년 10월생인 장녀 양조이였으며 인교진, 오지호와 함께 공동육아구역 OGG를 만든다는 컨셉으로 진행하였으나, 당시 자녀들이 모두 2015년생으로 만 1세도 안 된 아기였기 때문에 아빠들과 소통하지 못하고 아빠들끼리의 활동에 더 비중이 두이며 비판을 받았으며, 결국 2주마다 기태영과 번갈아 출연하다가 그해 12월 3명 모두 하차했다. 2017년 4월 28일 차남 양실로를 득남하면서 삼남매를 이루었다.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2017년 8월 20일 방송분에서 땅좀 보러왔습니다 콜럼버스라는 가명으로 참가해서 몽고반점 사장님 칭기즈칸과 같이 김건모의 '잠 못 드는 밤 비는 내리고'를 불렀으며 정체를 밝힐 때 박진영의 '엘리베이터'를 부르면서 청중 판정단을 놀라게 했다.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에서 남진 편과 정훈희 편에서 우승한 전적이 있다.


2017년에 딸 조이가 질식 사고를 당했다. 원래 그는 2017년 4월 5일 출발하는 정글의 법칙 뉴질랜드 편에 합류하기로 되어있었는데, 출발을 앞둔 며칠 전 딸 조이가 사고가 나서 불참하게 되었다. 당시 운동기구에 있는 고무줄에 목이 걸려 의식없는 상태의 조이를 본인이 발견해서 심폐소생술을 시도한 끝에 겨우 숨을 되찾았다고 한다. 이후 8월에 '정글의 법칙 in 코모도'편에 출연해서 이 사연을 공개했다. 출처


개를 키우는데 이름은 미키, 엘사 성별은 당연히 암컷이다. 근데 엘사의 왼쪽 눈 각막에 문제가 있는 듯 보인다. KBS 공채 개그맨 오지헌과는 고등학교 동창이다. 연예인이 된 지금도 친하게 지내며 함께 신앙생활을 하는 중이다. 양동근은 뉴 논스톱에서 "한턱 쏴!"라는 대사와 함께 나치식 경례와 유사한 동작을 했는데 2010년경 출연한 김승우의 승승장구에 출연해, 그 동작이 정말 나치식 경례에서 따왔다고 설명했다. 해맑은 표정과 방청객들과 함께 하는 나치식 경례는 덤이다. 양동근과 같이 출연한 김태희도 따라했다.


이상 양동근 박가람 나이 프로필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공감과 댓글, 공유까지도 큰 힘이 됩니다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반응형